월세나 전세로 세입자를 받고 나가는 일은 1~2년에 한번씩 거쳐야 하는 과정이지요.
좋은 분이 들어오는 것만큼이나, 지내시던 분이 잘 나가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우선 월세(전세) 퇴실시에는 "관리비는 밀리지 않고 잘냈는지, 각종 공과금 모두 완납했는지, 집과 옵션 상태는 멀쩡한지" 등을 확인하고 내보내야 합니다. 안그럼 세입자가 내지 않은 돈을 집주인이 부담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퇴실 시 유의할 내용을 세입자에게 안내하는 메세지를 공유드립니다.
상황은 모두 다르실테니, 각자 필요에 맞게 각색해서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세입자분에게 보내는 안내 문자 내용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내용을 길고 자세하게, 친절하게 적은 내용입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퇴실 안내사항]
안녕하세요, 그동안 이 집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호 퇴실과 관련하여 몇 가지 유의사항 안내드립니다. 원활한 퇴실을 위해 아래 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1️⃣ 공과금 정산
✅ 전기, 수도, 인터넷, 기타 공과금이 모두 완납되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도시가스의 경우 업체에 이사 일자를 통보하고 요금 정산 및 차단 요청을 해주세요.
2️⃣ 시설물 점검
✅ 이삿짐을 정리한 후 내부 파손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리모컨, 인터넷 모뎀, 공유기 등 옵션 품목이 모두 있는지 체크해 주세요.
✅ 옵션 품목의 작동 여부도 점검 후 이상이 있을 경우 미리 알려주세요.
3️⃣ 청결 상태 확인
✅ 깨끗한 상태로 퇴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만약 청소가 필요할 정도로 오염이 심할 경우, 별도로 청소비가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4️⃣ 열쇠 및 인수인계
✅ 방 열쇠 및 우편함 열쇠를 반환해 주세요.(현관문 비밀번호 알려주세요)
✅ 관리사무소에 관리비 완납 여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5️⃣ 보증금 반환
✅ 모든 이삿짐이 빠진 후 내부 상태 및 옵션 품목 이상 유무를 최종 점검합니다.
✅ 확인 후 계좌이체를 통해 보증금을 반환해 드립니다.
문의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
'부자의 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사업에서 NDA랑 CDA는 무슨 말의 줄임말이야? (0) | 2025.04.18 |
---|---|
2025년 최저임금 시급은 얼마? 역대 최저시급 변천사 한눈에 보기 (0) | 2025.02.10 |
해외여행 준비물 체크 리스트 (1) | 2023.06.15 |
휴게음식점 기존영업자 위생교육 (0) | 2023.06.02 |
수출 업무에서 알아야 하는 기본 지식 창고 (0)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