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값 전망 2025|진짜 금값이 된 금, 어디까지 오를까?

by Five Rabbits 2025. 3. 11.

2025 금값 급등 이유와 전망, 지금 투자해도 될까?

최근 금값이 크게 상승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고금리와 강달러 환경에도 불구하고 금 가격이 높은 이유는 바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하나금융연구소에서 3월 7일에 발표한 <진짜 금값이 된 금, 얼마까지 갈까?>라는 분석자료를 기반으로 요약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금값 상승을 이끈 주요 요인

금 가격은 일반적으로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받지만, 최근 몇 년 동안에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가격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미국의 대선 등 글로벌 정치적 리스크가 증가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 이유입니다.

금 가격 결정요인은?

금 가격은 크게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결정됩니다.

  • 달러 가치(역행): 금은 주로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하락할수록 금 가격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물가 상승률(동행): 금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물가가 오르면 금 가격도 오릅니다.
  • 실질 금리(역행): 금리가 낮을수록 금의 투자 매력이 증가합니다.
  • 글로벌 불확실성(동행): 지정학적 불안정과 같은 불확실성이 클수록 금 수요가 높아집니다.

금값의 역사적 추이

금값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상승기를 경험했습니다.

  • 1차 상승기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해 달러 가치가 하락하며 금값 급등
  • 2차 상승기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로 금 가격 급상승
  • 3차 상승기 (최근): 코로나19 위기, 러-우 전쟁, 미중 무역 분쟁과 같은 글로벌 리스크로 인해 금값 상승 지속 중

금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글로벌 금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는 크게 민간 투자자와 정부(중앙은행)입니다.

  • 민간 소비
    • 중국: 보석과 투자 수요가 결합된 형태로 금 소비가 많으며, 최근 중국의 경기 침체와 주식시장 불안정으로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인도: 문화적 이유(결혼식, 디왈리 축제 등)로 금 소비가 높습니다.
  • 미국과 유럽: 뉴욕과 런던 거래소에서 글로벌 금 가격을 주도하며, ETF 등 금융상품 개발을 통해 투자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금 투자, 김치 프리미엄 현상

국내 금 시장은 정치 불안과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정치적 불안과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김치 프리미엄'(국내 금 가격이 국제 가격보다 높은 현상)이 발생했고, 일반인들의 금 투자 수요가 폭증하면서 조폐공사와 금거래소의 골드바 판매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금 투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 골드바: 실물로 보유하지만, 최근 수급 문제로 판매 중단된 상황.
  • 골드뱅킹: 은행 계좌를 통한 금 투자 방식으로 실물 거래 없이도 투자 가능.
  • 금 ETF 및 펀드: 금을 주식처럼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어 최근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앙은행의 역할 변화

과거 중앙은행들은 금을 공급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기축통화로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략적으로 금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탈달러화' 움직임이 확대되면서 금 보유량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들은 최근 몇 년간 금 보유량을 크게 늘리고 있습니다.

금 투자, 주의할 점은?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지만, 변동성이 큰 만큼 무리한 투자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최근 금값 상승은 단기적인 투기 수요가 과도하게 반영된 부분이 있어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비율로 중장기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최근 금값이 과열된 상황에서는 단기적 접근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자산을 분산하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주식이나 채권 등 다른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아 분산 투자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요약하면,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금값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며, 금값 상승에 베팅할 경우 반드시 금 가격의 변동성을 유의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 
국제금융센터 최근 금 가격 상승 배경 및 시사점 , 2019.8.16., 
미래에셋대우증권, 2020.6.25., History doesn't repeat itself but it often rhymes
신한투자증권 금 가격 신고가 배경과 전망 , 2025.2.17.,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불안할수록 주목받는 안전자산 금 투자 방법은 , , ?
토스뱅크 금값 상승 이유를 알아보아요 (feat. 불안, 안전자산)
LG , 2010.7.26., 경영연구원 금 값에 담겨있는 세계경제의 고뇌
LS , 2025.2.13., (Gold) 증권 금 관세와 차익거래 메커니즘
NH , 2025.2.10., . 투자증권 사상 최고 금 가격 저가 은 투자 매력도 유효
동아일보 투자 광풍 금현물 계좌 년새 배로 , 2025.2.20., 1 5 金 … 
머니투데이 금값 너무 뛰는 거 아닌가 싶더니 중국 단타 수요 몰렸네 , 2024.4.24., " " …
매일경제 기때 합의도 갈아엎은 트럼프 동맹국도 예외없이 관세 때렸다 , 2025.2.11., 1
아시아경제 상천하 유아독존 너마저 투자 어떻게 , 2025.2.19., 金 銀 … … 
중앙일보 살다살다 금 품절사태 김치 프리미엄 까지 붙었다 신골드러시 , 2025.2.14., , 20% [ ]
K , 2020.7.27., , , 글로벌타임즈 폭등하는 금값 금 주도권은 미국과 영국에서 중국 인도 등 아시
아로 이동 중
Financial Times, 2025.2.17., Soaring gold becomes top ‘Trump trade’
J.P.Morgan, 2025.2.19., Will gold prices hit another all-time high in 2025?
The Economist, 2024.10.22., What the surging price of gold says about a dangerous 
world
World Gold Council, http://www.gold.org

댓글